본문 바로가기
■ 읽을거리/책

안나 카레니나 요약 (책리뷰)

by SunFree 2021. 8. 13.
반응형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모양새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불행의 이유가 저마다 다르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모양새지만
불행한 가정은 그 불행의 이유가 저마다 다르다


 소설의 첫 구절부터 강렬한 안나 카레니나. 책이 집필된 1873년 러시아, 그보다 더 먼 과거와 현재까지도 시대를 관통하는 통찰력입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범하게 살기가 참 어렵다고 느껴질때가 있습니다. 행복을 위해서는 삶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큰 결핍이 없어야하는 반면, 불행은 삶의 한 영역에서만 결핍이 생겨도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삶의 모든 부분에서 모든걸 이루더라도, 건강이 안 좋아진다면 불행의 시작이죠.



 소설에서는 크게 두 가정이 나옵니다. 모든 삶의 영역에서 완벽할 순 없지만, 존중하고 사랑하는 레빈의 가정과, 사랑의 결핍으로 불행한 안나의 가정이 나옵니다. 더 공감되고 인상깊은 인물은 안나입니다. 사랑앞에서 방황하고, 질투하고, 상처받는 우리의 모습과 닮았기 때문입니다. 안나의 이야기는 누구나 아는 사랑의 이야기입니다. 미칠듯이 사랑하고, 결혼까지 하지만, 어느새 사랑이 식고, 오히려 미워하며, 고통스러워 하게 됩니다. 그 끝은 결국 안나의 자살로 마무리 되지요. 이 책이 좋았던 이유는 그때 그때 사랑의 감정을 포착해내는 묘사가 뛰어나다는 점과, 복잡하고 불완전한 인간의 심리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키티는 평범한 복장으로
사람들 틈에 섞여있었다.
그러나 레빈은 그녀를 가시덤불 속에 핀
장미처럼 멀리서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었다.
레빈은 그녀를 알아본 순간
그대로 돌아갈까 생각했다.
그정도로 그는 두려웠다.

 사랑에 빠지면 상대방이 어디에 있던 알아봅니다. 볼품없는 가시덤불 속에서 새빨갛게 빛을 내고있는 장미처럼 말이지요. 그리고 두려워집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거부되는건 아무리 잘난 사람에게도 큰 고통이죠. 내 감정을 들키는게, 그게 사랑으로 이어지지 않을때 두려움 때문에, 말 한마디 걸지 못하고 돌아가 버리게 됩니다.



당시도 아시겠지만
우린 친구가 될 수 없습니다.
이제 우린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하든지,
아니면 가장 불행하든지
둘 중 하나일겁니다.

 사랑이 이루어지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할 것이며,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할 겁니다. 중간은 없습니다. 정말 사랑한다면 친구가 될 수 없죠. 상대방을 어떻게 볼 수 있겠습니까. 지금 친구로 남은 사랑이 있다면, 둘 중 하나일 겁니다. 더 사랑하는 사람과 만나서 멀어지거나, 그 친구와 다시 만나 사랑이 될 겁니다.


반응형

 

그녀에겐 그의 사랑이 식은 것이 원인이었고,
그에겐 안나가 그녀로 인해
괴로운 이 상황을 가볍게 만들어주기는 커녕
더욱 힘들게 하고 있는데서
비롯된 회한이 문제였다.
두 사람은 서로 상대에게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고
사사건건 그것을 증명하려고 애썼다.

 안나와 남편은 사랑해서 결혼했지만, 권태에 빠집니다. 안나는 사랑이 식었다고 느끼며, 남편은 안나의 질투에 점점 지쳐갑니다. 그리고 서로에게 잘못이 있음을 증명하려고 합니다. 스스로에겐 잘못이 없다고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죠. 시간이 지나면서 불같은 사랑은 잔잔하게 바뀌는게 순리입니다. 하지만 안나와 남편은 상황 개선을 위해 노력하지 않습니다.



존중은 사랑이 없는 자리를 메우기 위해
사람들이 만들어낸 말이에요.

 안나는 남편에게 소리칩니다. 존중은 사랑이 없을때 하는 말이라고. 처음 책을 읽었을 땐, 안나의 말이 맞다고 생각이 되었습니다. 존중하는 사람에게 사랑한다고 말하지는 않으니까요. 하지만 지금 다시 책을 읽으면서, 안나의 사랑이 안타까웠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존중할 순 있기 때문이죠. 안나는 사랑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람이라, 존중이 담긴 사랑보다는 순수한 사랑 자체를 원했을겁니다. 남편은 나를 존중해줘라고 말하지만, 안나는 나를 사랑해줘라고 말하고 있죠.


 안나도 이해가 됩니다. 그녀가 느끼기엔 남편의 사랑표현이 충분하지 않았을 거니까요. 지금도 잘 모르겠습니다. 남편을 존중해주는게 먼저 필요했을지, 아내를 사랑해주는게 먼저 필요했을지. 누군가 먼저 변화가 있었어야 했음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먼저 변화하는 사람이 더 성숙한 사람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기가 어디지?
난 뭘 하는 걸까?
무엇 때문에?

 안나는 기찻길로 몸을 던져 자살합니다. 사랑에 대한 극심한 스트레스 때문이죠. 사랑 때문에 고통받는 자신도 싫고,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남편에게 고통을 주기위한 방법은 자신의 죽음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몸을 던진 기찻길 위에서 찰나의 순간 생각합니다. '여기가 어디지?, 난 뭘 하는 걸까?, 무엇 때문에?'


 안나는 왜 기찻길 위에서 저런 생각을 했을까요. 충동적으로 자살을 결심했기 때문입니다. 자살은 정말 되돌릴 수 없는 선택이죠. 그래서 더 충동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짜장면을 먹을지 짬뽕을 먹을지도 한참을 고민하는데, 목숨을 결정짓는 일에는 상상도 못하게 갈등이 심할겁니다. 그래서 생각이 있더라도 실천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죠. 철저한 계획에 따른 자살은 없습니다. 모든 자살은 충동적입니다. 다만 자살까지의 과정은 개연성이 있겠지요. 계속되는 고통과 거기서 벗어날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는 절망감이 축적되다가, 한 순간 충동적으로 터져버리는 겁니다. 톨스토이의 통찰력은 다시보아도 놀랍습니다.



이성은 남을 사랑하라는
결론에 이를 수 없어.
왜냐하면 그것은 불합리하니까.

 안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았지만, 그럼에도 톨스토이는 '사랑'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레빈을 통해서 말이죠. 레빈과 아내의 결혼생활은 안나의 사랑만큼 강렬하지는 않지만, 점차 성장해가는 사랑을 보여줍니다. 서로에게 거리감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존중합니다. 레빈과 아내도 절대로 완벽하지 않습니다. 질투하고, 유혹당하고, 비겁해지고, 충동적인 인간입니다. 하지만, 레빈은 자살하지 않고, 계속 살아갈 겁니다. 사랑과 심리에 대한 통찰이 인상깊은, 『안나 카레니나』 였습니다.



반응형

댓글